2017년 8월 TVWS, 이동형 와이파이 모바일 백홀·운영비 90% 절감
작성일2018.09.16
본문
통신 인프라 결정은 국민 세금으로 투자하는 만큼,
기술의 방향, 구축 및 운용 비용 등을 가지고 10년 후를 보고 결정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통신 인프라 결정은 투자가 결정되면 4대강과 같이 다시 되돌리기 쉽지 않을 듯 합니다.
라스트마일 무선망 결정은 아래 3가지 요소가 Key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구축 및 운용 비용
- 통신속도
- 원거리 서비스
버스 공공 와이파이는 큰 틀에서 보면 공공 서비스의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에는 방범용 CCTV 카메라, 독거노인 단말기 등의 다양한 IoT 단말기 지자체에서 구축되었지만,
제4차 산업혁명에서는 사회적 갈등 및 소외계층 해결을 위한 더욱더 많은 공공 서비스는 더욱 확대될 것 입니다.
LTE, TVWS 등의 다양한 기술 검토 및 실증을 거쳐서,
가장 올바른 라스트마일 무선망 솔루션으로 고속 사물인터넷 통신 방식이 결정되었으면 합니다.
비록 이노넷이 "LTE 백홀 버스 공공 와이파이" 대안으로 "TVWS 백홀 버스 공공 와이파이"를 제안하지만,
건강한 나라를 위해서는 건전한 토론과 논쟁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http://www.etnews.com/20170816000458
DTV 유휴대역 'TV화이트스페이스(TVWS)'가 이동형 와이파이의 모바일 백홀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됐다.
롱텀에벌루션(LTE)보다 운영비를 90% 이상 절감할 수 있어 버스 등 이동체 공공와이파이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VWS 전문업체 이노넷은 300m 거리에 TVWS 장비를 설치, 시속 20~30km로 주행하며 실시간 동영상이 끊김 없이 전송됨을 확인했다. 이어 거리를 700m로 늘려 시속 68㎞로 주행하면서 같은 시연에 성공했다.
시연 목적은 TVWS '핸드오버' 확인이다. 핸드오버는 단말이 한 기지국 커버리지에서 다른 기지국 커버리지로 이동하더라도 끊김 없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동통신 서비스 핵심이다.
유호상 이노넷 대표는 “광역시별 시내버스와 승용차 평균 주행속도는 시속 20~30㎞에 불과해 TVWS로 충분히 서비스가 가능하다”며 “연내 상용 장비를 내놓고 내년 상반기 지자체와 시범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TVWS는 와이파이와 같이 별도 데이터 비용이 들지 않는다. 설치비, 모바일 백홀 장비까지 유선에 쓰이는 회선비만 있으면 된다. 반면에 롱텀에벌루션(LTE)은 데이터 비용 탓에 이동형 와이파이 적용 시 막대한 운영비를 감수해야 한다.
이노넷이 서울시 버스 7400대를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버스당 2Mbps 제공 시 LTE는 매달 25억1700만원, TVWS는 1억8600만원이 데이터 요금으로 소요된다. LTE 데이터 비용은 고속철도에 제공 중인 요금(월 50TB, 3500만원)을, TVWS는 유선회선 비용 기준으로 산출했다.
산술적으로 TVWS로 모바일 와이파이 데이터 비용을 13분의 1 이상 절감할 수 있다. 이동통신사가 고속철도 상징성을 고려, 저렴한 가격에 모바일 데이터를 공급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LTE 대비 비용 절감 효과는 이보다 큰 것으로 추정된다.
TVWS 속도 향상도 기대된다. 2Mbps는 반경 1㎞ 내 버스 50대 운행을 가정해 TVWS로 버스당 제공할 수 있는 속도다. 강남역처럼 200m 마다 버스 정류장이 설치된 곳에선 기지국 수를 늘려 차량 당 10Mbps를 제공할 수 있다. 다중안테나(MIMO)와 채널 집성(Aggregation) 모뎀 출시 계획이 있는 만큼 보다 빠른 속도를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는 전국 버스 5만대에 공공와이파이 설치를 발표했지만 2만대에만 우선 적용키로 했다. 설치비뿐만 아니라 매월 필요한 LTE데이터 비용이 부담이기 때문이다. 버스뿐만 아니라 보행자용을 비롯해 이동형 서비스 와이파이 제공에 저렴한 TVWS 활용 필요성이 제기된다.
TVWS는 주파수 간섭을 막기 위해 비워둔 470~698MHz 방송 대역이다. 와이파이보다 전파 도달거리가 길고 투과율이 높다. 구축·운영비가 저렴해 다양한 공공서비스에 활용이 예상된다. 정부는 TVWS를 무선인터넷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시를 지난해 12월 시행했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